JEPI ETF
2024년 4월 26일 기준, 배당 수익률 7.6%에 무려 월배당으로 배당금(분배금)을 주고 있는 주식이 있다.
작년에는 배당 수익률이 12%대까지 올라가기도 했으며, 현재까지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받고 있다.
오늘은 'JEPI ETF'에 대해 이야기하려고 한다.
흔히 '제피'라고 불리는 JEPI ETF의 정식 명칭은
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(Ticker : JEPI)이다.
횡보하는 주식 흐름에서도 JEPI가 높은 배당 수익률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뭘까?
흔히 JEPI를 말할 때, 커버드콜 ETF라는 말을 많이 한다.
바로, S&P500 지수를 기초로 콜 옵션을 조합한 상품이다.
즉, 커버드콜 ETF는 주식 매수와 콜 옵션 매도를 함께 하는 형태를 말한다.
콜 옵션에 대해 이해를 한다면 JEPI ETF가 어떻게 횡보하는 시장에서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지 쉽게 알 수 있다.
콜 옵션의 이해

B는 A로부터 1달 뒤 바나나를 현재 가격(100원)에 구매하기로 계약을 체결했다. (티켓 5원)
※ 선물과 옵션의 차이: 선물은 거래에 대한 '구속력'이 있지만 옵션은 '권리'를 가질 뿐 의무는 없다.
A가 이익인 경우

1달 뒤 바나나의 가격이 98원인 경우,
A의 경우, 시장 가격은 하락하였지만 티켓 가격(5원)으로 3원 이익을 본다.
B의 경우, 티켓 실현을 포기하여 5원 손실을 본다.
1달 뒤 바나나의 가격이 103원인 경우,
A의 경우, 티켓 가격(5원)의 이익을 얻는다.
B의 경우,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티켓을 실현하고 2원 손실을 본다.
A가 손실인 경우

1달 뒤 바나나의 가격이 150원인 경우,
A의 경우, 티켓 가격(5원) 만큼만 이익을 본다.
B의 경우, 티켓 실현하여 45원의 이익을 본다.
1달 뒤 바나나의 가격이 50원인 경우,
A의 경우, 티켓 가격을 제외한 45원의 손실을 본다.
B의 경우, 티켓 실현을 포기하여 5원 손실을 본다.
위 설명에서 A가 이익을 발생시키는 구조와 같이
콜 옵션으로 횡보하는 시장에서도 수익을 얻을 수 있다.
이러한 방법으로 JEPI ETF는 콜 옵션과 S&P500 내 안정성 높은 종목의 조합을 통해
높은 배당 수익률과 배당 안정성을 보여주고 있다.

JEPI는 배당 금액의 변동성이 있지만,
시장의 횡보에도 배당 수익을 낼 수 있는 매력적인 종목이라고 생각한다.
시장 정체기를 JEPI ETF로 대비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.
본 포스팅은 투자권유나 종목추천이 아닙니다.
모든 투자의 책임과 권리는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립니다.
'주식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TF 소개] S&P500 ETF란 무엇인가? (feat. ISA, 연금저축펀드로 투자하는 방법) (1) | 2024.05.10 |
---|---|
[ETF 소개] SCHD ETF란 무엇인가? (1) | 2024.04.26 |
[ETF 소개] ETF란 무엇인가? (0) | 2024.04.25 |